본문 바로가기
한글[KOREAN]/건축 이야기

ARE 5.0 건축사 시험 준비: 강구조 프레이밍의 핵심 개념과 연결부 설계 전략 - 전문가가 알려주는 합격 비법

ARE 5.0 건축사 시험을 준비하는 예비 건축가 여러분, 오늘은 강구조 프레이밍의 세부사항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보려 합니다. 강구조는 현대 건축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요소로, 그 설계와 시공 방법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건축가로서의 전문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일반적인 연결부부터 건물 프레임의 안정화 방법, 그리고 전단 연결부와 모멘트 연결부의 차이점까지, ARE 5.0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주요 개념들을 상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특히 미국강구조학회(AISC)의 기준에 따른 연결부 분류와 각 유형별 특징, 그리고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 방법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강구조 프레이밍의 세부사항을 이해하는 것은 단순히 시험을 위한 지식 습득을 넘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는 실질적인 능력을 기르는 과정입니다.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은 강구조의 기본 원리부터 고급 설계 전략까지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글에 포함된 건축 전문 용어: 

강구조 (Steel Structure):
정의: 주로 강철을 사용하여 만든 건물 구조
특징: 높은 강도, 가벼운 무게, 빠른 시공 속도

프레이밍 (Framing):
정의: 건물의 뼈대를 만드는 과정
구성 요소: 기둥, 보, 바닥 구조 등

연결부 (Connection):
정의: 구조 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부분
종류: 전단 연결부, 모멘트 연결부 등

앵글 (Angle):
정의: L자 모양의 강재
용도: 구조 부재 연결에 사용

플레이트 (Plate):
정의: 평평한 강철 판
용도: 구조 보강 및 연결에 사용

T형강 (Tee):
정의: T자 모양의 강재
용도: 구조 연결 및 보강에 사용

웨브 (Web):
정의: 보나 기둥의 수직 부분
역할: 전단력 전달

플랜지 (Flange):
정의: 보나 기둥의 수평 부분
역할: 휨 모멘트 저항

전단력 (Shear Force):
정의: 구조 부재를 서로 미끄러지게 하는 힘
예: 보에 작용하는 수직 방향의 힘

휨력 (Bending Moment):
정의: 구조 부재를 구부리려는 힘
예: 보의 중앙부를 아래로 휘게 만드는 힘

용입 그루브 용접 (Penetration Groove Weld):
정의: 두 부재 사이의 간격을 완전히 채우는 용접
특징: 높은 강도, 모멘트 전달에 효과적

스티프너 플레이트 (Stiffener Plate):
정의: 구조 부재를 보강하기 위해 추가하는 판
용도: 국부적인 응력 집중 방지

횡력 (Lateral Force):
정의: 건물에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예: 바람, 지진으로 인한 힘

가새 (Brace):
정의: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대각선 부재
역할: 횡력에 대한 저항 제공

전단벽 (Shear Wall):
정의: 횡력에 저항하는 수직 벽체
재료: 콘크리트, 강철, 목재 등

모멘트 저항 프레임 (Moment-Resisting Frame):
정의: 보와 기둥의 강한 연결로 횡력에 저항하는 구조
특징: 가새나 전단벽 없이도 안정성 확보 가능

다이어프램 작용 (Diaphragm Action):
정의: 바닥이나 지붕이 평면 내에서 강성 판처럼 작용하는 현상
역할: 횡력을 수직 구조 요소로 전달


강철 골조 구조 (Steel Frame Construction) 

이전 포스팅 보러가기 - 건축사 시험 준비: 강철 골조 구조 (Steel Frame Construction) 구조용 강철 바이블 - 주조 강철, 냉간 가공 강철, 오픈웹 조이스트의 특성과 활용

이전 포스팅 보러가기 - 건축사 시험 대비 강구조 설계 핵심 정리: 강철 골조 구조 (Steel Frame Construction)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부재 크기 추정법과 구조 시스템 계획

 

강구조 프레이밍의 세부사항 (Details of Steel Framing)

일반적인 연결부 (Typical Connections)

대부분의 강구조 프레임 연결부는 연결되는 부재들 사이에 앵글(angle), 플레이트(plate), 또는 T형강(tee)을 중간 요소로 사용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보-기둥 플랜지 볼트 연결부의 경우, 두 개의 앵글과 여러 개의 볼트가 필요합니다 (그림 11.24 - 11.27 참조).



이 연결 과정을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앵글 준비: 앵글은 필요한 길이로 절단되며, 모든 구성 요소에 볼트 구멍이 미리 뚫립니다.

공장에서의 사전 조립: 일반적으로 앵글은 제작 공장에서 보의 웨브(web, 보의 수직 부분)에 볼트로 미리 연결됩니다.

현장에서의 최종 조립: 건설 현장에서 보를 세우면서 기둥의 플랜지(flange, 기둥의 넓은 부분)에 볼트를 추가로 체결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연결을 "전단 연결부(shear connection)"라고 합니다. 이 연결 방식은 보의 웨브만을 기둥에 연결하고 플랜지는 연결하지 않습니다. 전단 연결부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직력(전단력, shear force) 전달: 보에서 기둥으로 수직 방향의 힘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휨력 전달의 한계: 보의 플랜지를 기둥에 연결하지 않기 때문에, 휨력(굽힘 모멘트, bending moment)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합니다. 휨력을 전달할 수 있는 "모멘트 연결부(moment connection)"를 만들기 위해서는 보의 플랜지를 기둥에 강하게 연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완전 용입 그루브 용접(full-penetration groove welds)입니다 (그림 11.28 및 11.29 참조).



모멘트 연결부 설계 시 주의할 점:

기둥 강도 확인: 만약 기둥의 플랜지가 보 플랜지에서 전달되는 힘을 충분히 받아내기 어렵다면, 추가적인 보강이 필요합니다.

스티프너 플레이트 사용: 이 경우, 기둥 플랜지 내부에 스티프너 플레이트(stiffener plate)를 설치합니다. 이 플레이트는 보에서 전달되는 힘을 기둥 전체로 더 잘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볼트 연결 대안: 비록 덜 일반적이지만, 용접 대신 볼트만을 사용하여 모멘트를 전달하는 연결부를 설계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러한 세부적인 연결 방식의 이해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강구조 설계에 매우 중요합니다. 각 연결 방식의 특성과 한계를 잘 파악하여 적절한 상황에 적용하는 것이 건축 구조 설계의 핵심입니다

건물 프레임의 안정화 (Stabilizing the Building Frame)

건물 프레임에서 전단 연결부(shear connections)와 모멘트 연결부(moment connections)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건물이 바람과 지진으로 인한 횡력(lateral forces)에 대해 어떻게 안정성을 확보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 가지 기본적인 안정화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림 11.30 참조):



가새 프레임 (Braced frames)
전단벽 (Shear walls)
모멘트 저항 프레임 (Moment-resisting frames)

각 메커니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가새 프레임 (Braced frames):

작동 원리: 강구조 건물 프레임의 불안정한 직사각형 형태 내에 안정적인 삼각형 구조 또는 대각선 가새를 만들어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연결부 특징: 가새 프레임 내의 보와 기둥 사이 연결부는 모멘트(휨력)를 전달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들은 핀이나 힌지처럼 작동할 수 있으며, 이는 그림 11.27과 같은 전단 연결부로 구현될 수 있습니다.

회전 능력: 이러한 연결부는 작은 회전이 가능하여 실질적으로 힌지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특수 사례 - 편심 가새 프레임 (Eccentrically braced frame):

구조: 대각선 가새의 끝부분이 보에 연결될 때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있습니다.
장점: 일반적인 가새보다 구조물 전체의 탄성이 더 높습니다.
주요 용도: 지진 시 건물 프레임이 에너지를 흡수하여 붕괴를 방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연결부 특징: 일반 가새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보와 기둥 사이에 전단 연결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전단벽 (Shear walls):

재료: 강철, 콘크리트, 또는 보강된 콘크리트 조적으로 만들어진 견고한 벽체입니다.
기능: 가새 프레임 구조의 대각선 가새와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연결부 특징: 가새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보와 기둥 사이의 모멘트 연결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모멘트 저항 프레임 (Moment-resisting frames):

특징: 대각선 가새나 전단벽 없이 횡방향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작동 원리: 보와 기둥 사이의 회전에 저항하는 모멘트 연결에 의존하여 횡력에 대해 프레임을 안정화합니다.
연결부 선택: 구조물의 구성과 작용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 모든 연결부가 모멘트 연결일 필요는 없습니다.
경제성 고려: 모멘트 연결이 전단 연결보다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더 간단하고 저렴한 전단 연결을 사용합니다. 고층 건물 프레임에서 안정화 요소를 배치하는 두 가지 일반적인 방법 (그림 11.31 참조):

중앙 강성 코어 방식:

구조: 건물 중앙에 강성이 높은 코어를 제공합니다.
코어 구성: 엘리베이터, 계단, 기계 설비 통로, 화장실 등이 위치합니다.
안정화 방법: 대각선 가새, 전단벽, 또는 모멘트 연결을 사용하여 견고한 타워 구조로 만듭니다.
외부 프레임: 나머지 건물 프레임은 전단 연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닥과 지붕의 다이어프램 작용(용접된 강철 데크와 콘크리트 토핑과 같은 얇은 판재가 가진 강성)을 통해 강성 코어와 연결되어 안정화됩니다.
추가 보강: 필요시 일부 건물 프레임에 보-기둥 모멘트 연결을 도입하여 횡력에 대한 저항력이나 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강성 외주부 방식:

구조: 건물 외곽에 강성이 높은 구조를 제공합니다.
안정화 방법: 대각선 가새, 전단벽, 또는 모멘트 연결을 사용합니다.
내부 구조: 건물 내부 전체는 전단 연결로 조립될 수 있으며, 바닥과 지붕 평면의 다이어프램 작용에 의존하여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이러한 안정화 방법들은 건물의 규모, 용도, 지역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되며, 때로는 여러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각 방법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적절히 적용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율적인 건물 설계의 핵심입니다.

전단 연결부와 모멘트 연결부 (Shear Connections and Moment Connections)

미국강구조학회(AISC,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는 보-기둥 연결부를 모멘트 저항 능력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합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완전 구속 모멘트 연결부 (Fully-Restrained (FR) moment connections):

과거 명칭: AISC Type 1
특징: 매우 강성이 높아 일반적인 하중 조건에서도 부재 간 기하학적 각도가 거의 변하지 않습니다.
용도: 높은 강성이 요구되는 구조물에 사용됩니다.
부분 구속 모멘트 연결부 (Partially-Restrained (PR) moment connections):

과거 명칭: AISC Type 3
특징: FR 연결부만큼 강성이 높지는 않지만, 신뢰할 수 있고 예측 가능한 모멘트 저항 능력을 가집니다.
용도: 건물 프레임의 안정화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단순 연결부 (Simple connections):

과거 명칭: AISC Type 2
다른 명칭: 전단 연결부 (shear connections)
특징: 일반적인 하중 조건에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며, 모멘트 저항 능력이 거의 없습니다.
제한사항: 단순 연결부만으로 구성된 건물 프레임은 횡방향 안정성을 위해 대각선 가새나 전단벽에 의존해야 합니다.
FR과 PR 모멘트 연결부는 각각 "강성(rigid)" 및 "준강성(semi-rigid)" 연결부로도 불립니다. 이 두 유형의 연결부는 모두 모멘트 저항 건물 프레임 구축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강구조 연결 상세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예시들:

단순 볼트 전단 연결부 (AISC simple connections):

그림 11.25-11.27, 11.32, 11.37 참조
특징: 모든 연결이 볼트로 이루어집니다.

용접 모멘트 연결부 (AISC Fully- and Partially-Restrained connections):

그림 11.28, 11.29, 11.33, 11.36 참조
특징: 용접을 통해 모멘트를 전달합니다.

용접 전단 연결부:

그림 11.34, 11.35 참조
특징: 전단력 전달을 위해 용접을 사용합니다.

기둥 연결부:

그림 11.38 - 11.41 참조
특징: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다양한 방식을 보여줍니다.
실제 현장에서는 이러한 연결부를 만드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여러 종류의 연결 요소와 볼트 및 용접의 다양한 조합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목표는 건물 전체의 시공 경제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안정화 방법과 개별 연결부 설계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연결부 선택 기준:

단순 구조물의 표준 접합 조건:

제작업체에 선택권을 줄 수 있습니다.
이유: 제작업체는 안전하고 시공성이 높으며 자사의 노동력과 장비를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복잡한 구조물 또는 특수한 접합 조건:

구조 엔지니어나 건축가가 특정 연결 상세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유: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한 경우, 더 정교한 설계가 요구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다양한 연결부 유형과 선택 기준을 이해하는 것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강구조 설계의 핵심입니다. 각 프로젝트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맞는 최적의 연결부를 선택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 다룬 내용에 대한 퀴즈: ARE 5.0 시험 준비

강구조 프레임에서 전단 연결부(shear connection)의 주요 기능은 무엇인가?
a) 휨 모멘트 전달
b) 수직력(전단력) 전달
c) 비틀림 저항
d) 횡력 저항

다음 중 모멘트 저항 프레임(moment-resisting frame)의 특징이 아닌 것은?
a) 대각선 가새 없이 횡방향 안정성 제공
b) 보와 기둥 사이의 회전에 저항
c) 모든 연결부가 반드시 모멘트 연결이어야 함
d) 전단 연결보다 비용이 많이 듦


미국강구조학회(AISC)가 분류한 보-기둥 연결부 중, 일반적인 하중 조건에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며 모멘트 저항 능력이 거의 없는 연결부는?
a) 완전 구속 모멘트 연결부(FR)
b) 부분 구속 모멘트 연결부(PR)
c) 단순 연결부
d) 복합 연결부

고층 건물 프레임의 안정화 방법 중 '중앙 강성 코어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a) 건물 중앙에 강성이 높은 코어를 제공
b) 엘리베이터, 계단, 기계 설비 통로 등이 코어에 위치
c) 외부 프레임은 모두 모멘트 연결로 구성
d) 바닥과 지붕의 다이어프램 작용을 통해 안정화

다음 중 편심 가새 프레임(eccentrically braced frame)의 장점은?
a) 시공이 간단하다
b) 비용이 적게 든다
c) 구조물 전체의 탄성이 더 높다
d) 모멘트 연결이 필요 없다


답변:

b) 수직력(전단력) 전달
설명: 전단 연결부는 주로 보에서 기둥으로 수직 방향의 힘(전단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c) 모든 연결부가 반드시 모멘트 연결이어야 함
설명: 모멘트 저항 프레임에서는 구조물의 구성과 작용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일부 연결부만 모멘트 연결일 수 있으며, 모든 연결부가 반드시 모멘트 연결일 필요는 없습니다.

c) 단순 연결부
설명: AISC의 분류에 따르면, 단순 연결부(또는 전단 연결부)는 일반적인 하중 조건에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며 모멘트 저항 능력이 거의 없습니다.

c) 외부 프레임은 모두 모멘트 연결로 구성
설명: 중앙 강성 코어 방식에서 외부 프레임은 전단 연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시 일부만 모멘트 연결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c) 구조물 전체의 탄성이 더 높다
설명: 편심 가새 프레임은 일반적인 가새보다 구조물 전체의 탄성이 더 높아, 지진 시 에너지를 흡수하여 붕괴를 방지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댓글